주식공부/주식이야기

5. 추세추종 vs. 평균회귀

정봉봉 2022. 11. 10. 23:12
반응형

이번 글에서는 추세추종과 평균 회귀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도록 하자. 먼저, 각각이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먼저 추세추종이라는 것은 추세를 신봉하는 것이다. 예컨대, 오르는 주식은 당분간 계속 오를 가능성이 크고, 내리는 주식은 당분간 계속 내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반면, 평균 회귀란 오르는 주식은 곧 내릴 가능성이 크고, 내리는 주식은 곧 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식의 말 그대로 평균에 수렴한다는 명제를 신봉하는 것이다. 실제 예로 다시 두 차이를 살펴보자.

 

기업A의 연매출 2018 2019 2020 2021 2022
매출액[억] 110 120 115 125 230

기업 A의 연간 매출실적이 위와 같다고 생각해보자. 해당 기업은 2018년부터 2021년까지 120억 원 언저리의 매출을 보이다가 2022년 230억의 매출을 올렸다. 물론 세부적으로 매출이 급증한 이유에 대하여 분석이 필요하겠으나, 매출 데이터만 보고 의사결정을 한다고 가정해보자. 추세추종과 평균 회귀는 해당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할까? 아마도 아래와 같을 것이다.

 

- 추세추종: 매출이 급증한걸 보니 회사의 체질개선이 이루어졌겠군! 당분간 매출이 증가하겠어!

   > 지금이 매수의 적기일 수 있겠다!!

- 평균 회귀: 매출이 급증했으나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고 결국은 120억 원 언저리로 복귀하겠군!

   > 오히려 매출이 증가해서 주가가 오른 지금은 투자가 애매한 시점이군...

 

혹은 반대로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어떠할까?

기업B의 연매출 2018 2019 2020 2021 2022
매출액[억] 125 130 115 120 15

기업 B의 매출실적 또한 120억 원 언저리를 꾸준히 보이다가 2022년 급락하여 15억 원의 매출실적을 보였다고 가정해보자. 이러한 상황에서 추세추종과 평균 회귀는 어떻게 해석할까? 이 역시도 아래와 같을 가능성이 높다.

 

- 추세추종: 매출이 급락한걸 보니 회사에 문제가 생긴 것 같군.. 앞으로도 매출이 급락한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

   > 지금은 매수를 피해야겠다...

- 평균 회귀: 매출이 급락했으나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고 결국은 120억 원 언저리로 복귀하겠군!

   > 매출 급락에 의해 주가가 많이 빠진 지금이 투자의 적기겠어!!

 

 

물론 앞서 이미 언급한 것처럼, 실제로는 위의 두 상황이 발생하였다면, 매출이 변한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해당 이유나 원인이 일시적인지 아닌지를 분석한 후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만, 위의 예는 추세추종과 평균 회귀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극단적으로 작성되었음을 염두에 두자.

 

위에서 정리한 추세추종과 평균 회귀의 예시를 통해 평균 회귀는 역발상 투자에 가깝고, 추세추종은 달리는 말에 올라타는 투자에 가까울 것이다. 다만, '추세추종이 좋고 평균 회귀가 안 좋다' 혹은 '평균 회귀가 옳고 추세추종은 틀리다'는 식의 내용을 전달하려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추세추종과 평균 회귀는 투자 철학에 가깝다는 것을 전달하고 싶다.

 

체질적으로 남들이 결정하는 부분에 편승하여 편안함을 느끼는 사람이 있을 수 있고, 반대로 남과 다르게 생각하는 것에 편안함을 느끼는 사람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추세추종이란 추세가 형성된 즉, 시장과 사람들의 관심을 받고 있고 이에 돈도 몰려 당분간 상승추세를 보일 수 있는 종목에 편안함을 느끼고 투자하는 방법으로 고려할 수 있다. 평균 회귀란 일종의 턴어라운드 즉, 시장과 사람들의 외면을 받아 빠질대로 빠진 주가이니 조금만 관심을 받더라도 크게 오를 수 있는 종목에 편안함을 느끼고 투자하는 방법으로 고려될 수 있다.

 

아울러, 추세추종과 평균 회귀가 대척되는 개념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 가령, 실적이 계속 나빠 사람들의 관심을 받지 못했던 주식에 평균 회귀를 철학으로 투자하였는데, 시간이 지나 해당 종목에 추세가 형성되어 사람과 돈이 몰릴 수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하락의 추세가 형성되어 주가와 사람들의 관심이 빠지고 있음을 확인하고 평균 회귀의 철학으로 투자를 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추세추종과 평균 회귀에 대하여 정리하여보았다. 다음 글에서는 단도 투자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반응형

'주식공부 > 주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안전마진이란 무엇일까?  (0) 2022.11.08
3. 장기투자의 허와 실  (0) 2022.11.01
2. 금리와 주식  (1) 2022.10.18
1. 집중투자 vs. 분산투자  (0) 2022.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