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현금흐름표 4

14. 재무제표 해석 예시(현금흐름표)

앞서 손익계산서를 통해서 추측한 추론들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을 수행해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해당 기업은 제조업이 아닌 서비스 혹은 바이오 등의 자본이 적게 소요되는 업종의 기업이다. > 매출구조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제조업이 아닌 서비스 혹은 바이오 등의 업종일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재확인하였다. 2. 매출채권과 매입채무의 관계로 미루어볼 때 해당 업종의 갑의 위치에 있는 기업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 > 손익계산서 만으로는 확증된 증거를 추가 확보하기는 어려웠다. 3. 금융상품(50억)+투자부동산(28억)을 볼 때, 본업에서 충분한 매출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 당기순이익이 6.7억 원으로 직전년 동분기 대비 크게 개선되었으나, 금융상품 및 투자부동산의 금액..

11. 재무제표: 현금흐름표 / 용어설명 및 해석

앞서 재무제표의 마지막으로 현금흐름표의 필요성 및 활용 방안에 대하여 간단하게 기술하였다. 2022.07.22 - [주식공부] - 10. 재무제표: 현금흐름표-현금흐름표가 필요한 이유 10. 재무제표: 현금흐름표-현금흐름표가 필요한 이유 이번 글에서는 재무제표의 주요 구성 중 마지막으로 현금흐름표에 대하여 작성해보고자 한다. 현금흐름표의 세부적인 설명은 다음 글에서 작성할 예정이며, 본 글에서는 현금흐름표의 필요성 bb-investment.tistory.com 이번 글에서는 좀 더 상세히 현금흐름표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용어설명 및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작성해보고자 한다. 아래의 삼성전자 22년 1분기 현금흐름표를 살펴보자. 구성은 크게 영업활동 현금흐름, 투자활동 현금흐름, 재무활동 현금흐..

10. 재무제표: 현금흐름표-현금흐름표가 필요한 이유

이번 글에서는 재무제표의 주요 구성 중 마지막으로 현금흐름표에 대하여 작성해보고자 한다. 현금흐름표의 세부적인 설명은 다음 글에서 작성할 예정이며, 본 글에서는 현금흐름표의 필요성에 대해서 써보고자 한다.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있겠으나 "흑자도산"이라는 용어를 들어본 적이 있을지 모르겠다. 말 그대로 흑자를 내는 기업인데 도산(부도)했다는 의미이다. 도대체 왜 흑자를 내는 견실한 기업이 부도가 났을까? 그 해답을 현금흐름표가 줄 수 있다. 앞서 작성한 손익계산서나 재무상태표의 경우, 경우에 따라 실제 돈이 오고 간 게 아니지만 편의상 표기한 부분이 존재한다. 대손상각비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대손상각비(혹은 상각비)는 말하자면 "보통 이 제품(생산기계, 자동차, 건물 등)을 사면 10년 동안 쓰게 되니까..

3. 재무제표의 종류: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앞서 재무제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작성해 보았다. 또한 개인적으로는 DART의 활용을 추천하였다. 다음 단계로 DART에 접속하여 내가 확인하고자 하는 회사의 분기/반기/사업보고서 통해 재무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기업마다 차이는 있으나 "재무에 관한 사항"의 "연결재무제표"와 "연결재무제표 주석"을 살펴보면 되겠다. 해당 "연결재무제표"를 선택해서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로 나누어 작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각각이 무슨 의미이며 어떤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쉽게 풀어서 작성해보고자 한다. 1.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네이버 지식백과에 재무상태표를 검색하면, 재무상태표를 "일정 시점 현재 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