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무상태표 7

14. 재무제표 해석 예시(현금흐름표)

앞서 손익계산서를 통해서 추측한 추론들에 대한 추가적인 검증을 수행해보았다. 이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해당 기업은 제조업이 아닌 서비스 혹은 바이오 등의 자본이 적게 소요되는 업종의 기업이다. > 매출구조가 크게 개선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제조업이 아닌 서비스 혹은 바이오 등의 업종일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재확인하였다. 2. 매출채권과 매입채무의 관계로 미루어볼 때 해당 업종의 갑의 위치에 있는 기업은 아닐 가능성이 높다. > 손익계산서 만으로는 확증된 증거를 추가 확보하기는 어려웠다. 3. 금융상품(50억)+투자부동산(28억)을 볼 때, 본업에서 충분한 매출이 발생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 당기순이익이 6.7억 원으로 직전년 동분기 대비 크게 개선되었으나, 금융상품 및 투자부동산의 금액..

12. 재무제표 해석 예시(재무상태표)

본 글에서는 앞서 설명한 재무제표(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를 실제 한 기업의 재무제표를 사용하여 해석하는 예시를 작성해보고자 한다. 아래의 각각의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를 살펴보자. 먼저 재무상태표를 해석해보면 어떨까? 큰 숫자부터 살펴보자, 해당 기업의 경우 자본은 약 287억 원가량이고, 부채는 197억 정도이다. 이에 자산은 약 479억 가량이며, 전체 자산 대비 부채의 비율은 약 41%가량으로 상당히 안정적인 부채비율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자산부터 상세히 살펴보면,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이 각각 272억, 206억 가량으로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적어도 제조업은 아닐 가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유동자산의 경우,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이 ..

7. 재무제표: 재무상태표-자본 / 용어설명 및 해석

앞서 재무상태표의 자산과 부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글에서는 재무상태표의 마지막 부분은 자본에 대하여 작성하고자 한다. 앞선 설명과 유사하게 주요 용어의 정의와 대략적인 해석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에 대하여 작성하고자 한다. 그럼 마찬가지로 삼성전자의 22년 1분기 재무상태표 중 자본 부분을 살펴보면서 이야기해보자. 자본은 자산이나 부채에 비하여 항목 자체가 많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전자를 기준으로 자본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목들을 살펴보면, 이익잉여금(결손금)이 압도적이고 나머지는 무시 가능할 정도이다. 이익잉여금이란 말 그대로 '이익이 나서 잉여로 생긴 돈'으로 이해하면 충분할 것이다. 다만 이익잉여금 자체는 한 시점에 대한 것이므로, 이익잉여금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시계열로 이익잉..

6. 재무제표: 재무상태표-부채 / 용어설명 및 해석

다음으로 재무상태표 중 부채에 대해서 이야기해보자. 일반적으로 부채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는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실제 회사를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부채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쓰느냐가 회사의 발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그만큼 부채도 중요한 항목 중 하나라는 의미이다. 마찬가지로 삼성전자의 재무상태표 중 부채의 항목을 보면서 추가로 이야기해보자. 자산과 마찬가지로 부채도 금액이 큰 순서대로 중요성을 갖는다. 아울러,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 또한 앞서 자산과 동일하게 1년의 기간을 기준으로 1년 내에 갚아야 하는 부채를 유동부채 1년을 초과하여 갚아야 하는 부채를 비유동부채라고 한다. 그렇기에 당연하게도 비유동부채는 언젠가 유동부채가 된다. 삼성전자의 유동부채는 금액이 큰 순서로 ..

5. 재무제표: 재무상태표-자산 / 용어설명 및 해석

앞서 재무상태표가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그럼 본격적으로 재무상태표를 해석해보자. 해석을 위해서는 당연하게도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실제 재무상태표를 보면 낯선 용어가 있긴 하지만 그 뜻을 유추해보기는 어렵지 않을 것이다. 또한 모든 용어를 다 이해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본 글에서는 재무상태표에서 주요하게 보아야 하는 용어들에 대해서만 간단하게 설명하고, 그 해석을 어떻게 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작성해보고자 한다. 세부적인 재무상태표를 살펴보기에 앞서 재무상태표는 자산, 부채, 자본의 큰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산=부채+자본임을 염두하면서, 삼성전자의 재무상태표를 기준으로 세부적인 용어를 살펴보자. 먼저 재무상태표의 자산항목을 보면, 크게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이 있다. ..

4. 재무제표: 재무상태표-재무상태표가 필요한 이유

앞서 재무상태표란 개인의 자산과 같다고 설명하였다. 그렇다면 세부적으로 재무상태표를 보는 이유가 무엇이고, 해당 재무상태표의 각 항목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하여 작성해보고자 한다. 먼저 재무상태표 즉, 기업의 자산을 보는 이유는 무엇일까? 유명한 투자자들은 투자를 예측의 영역이 아닌 대응의 영역이라고 단언하고 있다. 이는 바꿔 말하면, 주식의 가격이 오를지 내릴지는 아무도 알 수가 없다는 뜻이다. 물론, 여러 가지 판단을 기반으로 오를 가능성을 보고 혹은 내재가치와 현재 해당 주식의 주가 사이의 큰 괴리를 보고 확률에 투자를 하는 것이 결국 주식이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100%라는 건 사실 불가능하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주식투자에서 기간에 대한 고민을 해볼 필요가 있다. 나 역시 마찬..

3. 재무제표의 종류: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앞서 재무제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작성해 보았다. 또한 개인적으로는 DART의 활용을 추천하였다. 다음 단계로 DART에 접속하여 내가 확인하고자 하는 회사의 분기/반기/사업보고서 통해 재무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기업마다 차이는 있으나 "재무에 관한 사항"의 "연결재무제표"와 "연결재무제표 주석"을 살펴보면 되겠다. 해당 "연결재무제표"를 선택해서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로 나누어 작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각각이 무슨 의미이며 어떤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쉽게 풀어서 작성해보고자 한다. 1. 재무상태표(Statement of financial position) 네이버 지식백과에 재무상태표를 검색하면, 재무상태표를 "일정 시점 현재 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