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공부/벨류에이션

10. 벨류에이션(Valuation): ROA

정봉봉 2022. 9. 22. 23:47
반응형

앞서 ROE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2022.08.18 - [주식공부/벨류에이션] - 3. 벨류에이션(Valuation): ROE

 

3. 벨류에이션(Valuation): ROE

다음은 익숙한 지표 중 하나인 ROE에 대하여 알아보자. 엄밀히 말하면 ROE는 앞서 정리해본 PER 및 PBR과는 다르게 주식의 가격과는 크게 관련이 없는 지표다. ROE 자체가 Return on Equity의 약어로 직역

bb-investment.tistory.com

 

그리고 해당 글에서 ROE의 유의사항으로 부채가 높은 기업일수록 ROE가 높게 계산될 수 있음을 명시하였다. 그렇다면 ROA란 지표는 ROE와 어떻게 다르고 어떤 쓰임을 가지는지 살펴보자. 먼저 ROA는 Retern on Assets으로 직역하자면 '자산으로 얼마를 벌었느냐' 정도가 되겠다. ROE가 '자본으로 얼마를 벌었느냐'라는 개념이므로 자본과 자산의 차이를 살펴보면 두 지표의 차이를 명확하게 알 수 있다.

 

ROA(Return on Assets) = (순이익 / 자산) × 100(%)

 

2022.07.06 - [주식공부/재무제표] - 5. 재무제표: 재무상태표-자산 / 용어설명 및 해석

2022.07.10 - [주식공부/재무제표] - 7. 재무제표: 재무상태표-자본 / 용어설명 및 해석

 

7. 재무제표: 재무상태표-자본 / 용어설명 및 해석

앞서 재무상태표의 자산과 부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글에서는 재무상태표의 마지막 부분은 자본에 대하여 작성하고자 한다. 앞선 설명과 유사하게 주요 용어의 정의와 대략적인 해석을 어

bb-investment.tistory.com

 

5. 재무제표: 재무상태표-자산 / 용어설명 및 해석

앞서 재무상태표가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그럼 본격적으로 재무상태표를 해석해보자. 해석을 위해서는 당연하게도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실제 재무상태표를 보

bb-investment.tistory.com

 

위의 링크에서 별도로 확인할 수 있기에 자산과 자본의 세부적인 의미는 생략하고, 간단히 정리하면 '자산 = 자본 + 부채'이다. 위에서 ROE 지표의 사용 유의점이 동일한 자산을 가지더라도 자본이 작고 부채가 크다면, ROE가 높게 계산될 수 있다는 점을 명시하였다. 그러나 ROA를 사용하는 경우, 자본과 부채를 모두 더한 자산을 기준으로 계산하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아래의 두 회사를 예시로 살펴보자.

 

1. 기업 A: 매출액 100, 매출원가 80, 판관비 10, 순이익 10/ 자산 100(자본 80, 부채 20)

 > ROE = (순이익 / 자본) × 100 = 10/ 80× 100 = 12.5%

 > ROA = (순이익 / 자산) × 100 = 10억 / 100억 × 100 = 10% 

2. 기업 B: 매출액 100, 매출원가 80, 판관비 10, 순이익 10/ 자산 100(자본 20, 부채 80)

 > ROE = (순이익 / 자본) × 100 = 10 / 20 × 100 = 50%

 > ROA = (순이익 / 자산) × 100 = 10억 / 100억 × 100 = 10%

 

 

이미 언급한 것처럼, ROA는 자산을 기준으로 계산되기에 기업 A와 B 모두 동일하게 10%로 계산되었다. 반면, ROE의 경우 부채를 많이 쓰는 기업 B는 50%를 보이는데 반해 기업 A는 12.5%를 보인다. 이 두 지표를 조합하여 고려하면 어떨까? ROA와 ROE의 차이가 크다면, 직관적으로 부채를 많이 쓰는 회사라는 정보를 알 수 있다. 이처럼 ROA는 부채의 규모와 상관없이 회사가 가지고 있는 총자산에 대한 수익성을 살펴보는 지표로 고려될 수 있으나, 그 자체로 상당한 유의성을 가진다기보다는 ROE와 비교를 통해 손쉽게 대상 기업이 부채를 많이 쓰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물론 ROA도 ROE와 마찬가지로 높으면 높을수록 회사가 좋은 비즈니스 모델을 가졌다고 볼 수도 있으나, 순이익 자체가 변동성이 포함된 데이터이므로 해당 지표를 맹신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가령,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자산을 모두 팔아서 영업이익이 별 로거나 심지어 적자임에도 순이익은 엄청난 흑자를 기록하여 ROA가 높게 계산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음 글에서는 ROE와 ROA에 이어 ROIC에 대하여 정리해보고자 한다.

반응형